https://happycloud-lee.tistory.com/50 GitLab image registry 설치 및 사용 환경 구성GitLab image registry를 helm chart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방법을 가이드 합니다.helm chart 버전은 8.4.1 입니다. ubuntu@bastion:~/install/gitlab$ helm search repo gitlab/gitlab --versionsNAME CHART VERSION APP VERSION DESCRIPTION gitlahappycloud-lee.tistory.com

1. ubuntuNFS 서버 설정1) OS업그레이드 먼저, OS업그레이드부터 합니다.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upgrade -y 2) nfs 서버에 필요한 라이브러리 설치# sudo apt-get install nfs-common nfs-kernel-server rpcbind3) 공유할 디렉토리 생성공유 디렉토리는 상황에 맞게 수정하세요. # sudo mkdir -p /data/nfs누구나 접근할 수 있도록 권한을 변경# sudo chmod 777 /data/nfs 4) client VM정보 셋팅아래 예와 같이 NFS를 사용할 클라이언트 VM의 IP를 지정합니다. # sudo vi /etc/exports/data/nfs 169.56.164.243(rw,s..

1. DevOps란 ? DevOps란 개발조직과 운영조직의 벽을 최소화하자는 개념입니다. 시작은 그랬습니다. 하지만, 현재 DevOps의 진정한 의미는 비즈니스 조직과 IT조직의 협업을 강화하자는 것입니다. 다시말해, 고객과 업무를 가장 잘 이해하는 비즈니스 조직원의 생각과 아이디어가 실제적인 IT서비스로 구현되고 계속 발전되는 "문화"를 만들자는 것이 DevOps가 추구하는 방향입니다. 2. 왜 DevOps 문화가 필요한가 ? IT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 비용 절감, 자동화를 통한 편의성과 속도 향상은 DevOps의 목표가 아닙니다. DevOps문화의 진정한 목표는 고객과 비즈니스를 위한 지속적인 혁신입니다. 3. 어떻게 DevOps문화를 만들 수 있는가 ? DevOps문화을 만들기 위한 힌트는 ..

작성중... 사전준비 - VM준비하기 https://happycloud-lee.tistory.com/11?category=832251 - helm 설치 https://happycloud-lee.tistory.com/3?category=832245 - CI/CD사전툴설치 https://happycloud-lee.tistory.com/category/devops/CI%2C%20CD%20%ED%88%B4%20%EC%84%A4%EC%B9%98 - chartmuseum 설치 https://happycloud-lee.tistory.com/8?category=832245 사전 준비가 끝났으면 이제 시작해 봅시다. 작업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1. giblab에 새 project생성 후 eclipse에서 node.js..

helm chart registry로 github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internet 사용이 원할하지 않거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private registry를 구축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장에서는 chartmuseum이라는 오픈소스를 이용하여 private helm registry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작업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1. 환경설정값 재정의 : chartmuseum의 환경변수값(values.yaml에 정의)을 분석하여 재정의 환경설정 파일 생성 2. NFS volume 생성 3. 배포할 namespace 생성, System Account 생성 및 Cluster Role Binding 4. TLS위한 cert 파일 생성 및 Secret 리소스 생성 5. chartmuseum 설치 6...

helm chart repository로 github를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사전에 https://github.com/ 으로 접근하여 계정을 하나 만듭니다. 본 글에서는 'happycloudpak'이라는 계정을 이용하여 설명합니다. 예제를 따라할 때 반드시 계정명은 본인의 github계정명으로 바꾸십시오. 작업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1. github에 새로운 repository 생성과 접근 URL셋팅 2. Local에 git repository 생성 3. 첫번째 helm chart 가져오기 4. github로 Push 5. Local에 github helm repository 추가하기 6. 테스트 1. github에 새로운 repository 생성과 접근 URL셋팅 1) repository ..

이전 장에서는 기존에 미리 만들어진 chart를 설치/업그레이드/배포하는 방법을 설명했습니다. 이제 직접 helm chart를 만들어 Repository에 배포까지 하는 방법을 배워 보겠습니다. 각 단계별 사용하는 명령은 아래와 같습니다. 그럼 순서대로 실습해 보겠습니다. 사전준비 helm chart로 배포할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docker image로 build한 후 docker registry에 push합니다. 1) 프로그램 작성 # mkdir -p ~/work/hello-helm && cd ~/work/hello-helm 아래 내용으로 node.js 프로그램을 작성합니다. var http = require('http'); var os = require('os'); var port = 8080; h..

이번 장에서는 공개된 오픈소스소프트웨어의 Helm chart를 설치, 업그레이드, 삭제하는 명령어들에 대해 배워 보겠습니다. 각 목적에 맞는 명령어 리스트를 1 page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이제 각 명령을 실제 예제를 통해 설명하겠습니다. 사전에 사용하고 있는 VM에 helm과 kubernetes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1. 차트 저장소 이용하기 1) helm repo list : 자신의 VM에 등록된 helm chart 저장소 목록을 표시합니다. $ helm repo ls 2) helm repo add : 새로운 helm chart 저장소를 등록합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Bitnami사의 helm chart는 아래 주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github.com/bitna..

Helm은 컨테이너를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돕는 툴입니다. 컨테이너 배포에 필요한 Container Image, Volume, 환경설정등을 정의한 helm chart를 통해 빠르고 쉽게 배포하게 해 줍니다. helm은 CLI인 helm을 이용하여 kubernetes Control Plane node의 API Server에 요청하여 배포를 수행합니다. 따라서, helm CLI를 실행하는 장비(PC/베어메탈/VM등)에 kubernetes cluster 인증 정보를 담고 있는 kubenetes configuration파일(보통 .kube/config 파일)이 있어야 합니다. Jenkins와 같은 CI/CD툴에서 CD파트(컨테이너 배포 부분)에 helm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Helm Chart 구..
- Total
- Today
- Yesterday
- 도파밍
- spotify
- 육각형인간
- SAGA
- 돌봄경제
- 스포티파이
- 리퀴드폴리탄
- 호모프롬프트
- 요즘남편 없던아빠
- 마이크로서비스 패턴
- CQRS
- 애자일
- AXON
- agile
- 디토소비
- micro service
- 마이크로서비스
- 분초사회
- 버라이어티가격
- API Composition
- 스핀프로젝트
- Event Sourcing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